잡식 (잡다한 지식)

딥시크 VS 챗GPT 질문 배틀

메시에 (M_3) 2025. 1. 28. 19:13
반응형

중국 AI언어모델 딥시크가 떠오르는 샛별로 불거지고있다.

덫붙여 중국과 미국의 AI대결로 번져나가고 있는데
누리꾼들 사이 딥시크 대 챗GPT 질문 대결 글이 올라와 화재가 되고 있다.
저자도 체험을 해보았는데 재밌는 질문 3개를 딥시크와 쳇
챗GPT에게 각각 물어 보았다.


먼저 소셜미디어 X에서 한 누리꾼이 올린 글을 보자. '회전하는 삼각형 안에 들어 있는 빨간색 공을 구현해달라' 고 양쪽 AI에 물어봤다.

[출처: X 게시글 캡쳐]


결과 딥시크는 오른쪽 그림으로 삼각형안에 공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다 입체적으로 표현해주었고, 대조적으로 쳇GPT는 회전하는 삼각형 외부에 맞닿아 있고 고정된 빨간색 공만 보여주었다.
누리꾼은 동일 질문에 가성비가 좋은 딥시크가 더 정확한 대답을 하였다고 의견을 남겼다
(실제 딥시크는 챗GPT보다 1/10의 비용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예전 업무 진행 시 ChatGPT를 활용 해보려고 했었는데 막상 업무에는 적용을 못 했었다.
이번에 딥시크 이슈도 생겼겠다.
두 AI언어모델에 딥시크와 챗GPT에게 각각 물어보았다.
질문은 3개로 준비, 누가 답변으로 채택될지 질문을 해보자.

*딥시크 VS 챗GPT 질문 대결!

1. 설날 차례상 음식 놓는 방법
1) 챗GPT 문의 결과



2) 딥시크 문의 결과



우선적으로 차례상까지 잘 아는 AI에게 놀랬다.
두 AI 모두 대답은 잘했는데
챗GPT가 음식의 위치 디테일 등 더 세밀하게 대답한 것으로 보인다.
1라운드 챗GPT에게 손을 들어준다.

자 이제 2라운드
설날 명절때 이슈인 특선영화에 대해 문의 해보았다


2. 설날 명절 특선영화
1) 챗GPT 문의 결과
  


2) 딥시크 문의 결과


이번에도 챗GPT가 정확히 오늘 일자 기준 특선영화를 정확히 안내해줬다.
허나 댑시크는 보편적으로 방영하는 선정 영화들을 안내 했고 디테일은 다소 부족해보였다.
자본주의 시대 역시 돈이 들어가야 하는것일까....

마지막 질문은 답이 없는 질문을 선택해보았다.
요즘 아이들에게 최고 인기 애니메이션인
티니핑에 대해 물어 보았다

3. 캐치티니핑중에 가장 센 캐릭터
1) 챗GPT 문의 결과


2)딥시크 문의 결과

이번 질문은 답이 없는 질문인데
딥시크가 명확하게 에피소드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표현을 했다.
정확한 답변이 아니여서 얻어 걸릴 수도 있는데
아무튼 이번에는 딥시크가 승이다.

결론적으로 2:1 챗GPT 승이나 둘 다  AI 답변 능력이 뛰어 났다.
특히 챗GPT는 디테일함, 딥시크는 현실성이 더 반영되어 있는것으로 판단된다.

저자는 챗GPT 제한적 사용 및 유료인점을 감안하여
가성비가 좋고 무료인 딥시크가 더 유용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었다.

이상 딥시크 VS 챗GPT 배틀 결과 입니다.

명절 심심하시면 AI언어모델에게 질문을 하면서 놀아보세요~
좀 더 AI와 친숙해진 느낌입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ㅇ^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