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의 연봉 중 1~5월까지는 월급은 모두 정부를 위해 일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나라를 위해 세금을 내고 있다는 얘기)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물가에는 부가세 10%가 세금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월급에 10%이상은 연금, 건강보험, 소득세 등으로 납부를 하고 있다.
말은 임꺽정, 로빈후드처럼 부자들에게 세금을 걷어 모두 잘 살게 하기 위함이나 실제는 빈곤층과 중산층에 세금을 걷는 전략이라고 한다.
기업을 소유한 부자들은 세금을 면제 받는 것이 현실이다.
“가장 못 된 깡패는 네 상사나 사장이 아니라 국세청 직원이란다. 그들은 네가 가만있으면 더 많은 세금을 떼어갈 거야.” -로버트기요사키 도서 ‘부자아빠가난한아빠’-
직장인들 어떻게 하면 세금을 덜 내고 환급도 많이 받을 수 있을까??
부자도 법인 사업을 운영하듯 개인 본인에 대해 투자하고 연말정산 전략을 잘 짜야한다.
직장인 연말정산 환급 꿀팁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글이 많아 읽기가 힘드시면 아래 결론만 보셔도 도움이 될것 같네요^^)
1. 카드 사용
-현금대신 카드를 사용할때 체크카드가 신용카드 보다 소득공제가 +15%많이 받는 사실은 다 알것이다.
그런데 신용, 체크 카드사용 소득공제는 전체 소득의 25%이후부터 적용된다.
따라서 소득의 25%정도 금액을 처음 지출할때까지는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향후는 세제혜택이 좋은 체크카드를 사용한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향후 신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대출 받을때 유리하다. 만약 본인 신용도가 낮으면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제때 돈을 납부하자 그럼 신용도가 다소 올라간다.
또한 신용카드는 일반 체크카드보다 포인트 등 혜택이 많다.
따라서 카드의 25%전까지는 어차피 소득공제를 못 받으니 혜택이 많은 신용카드를 사용하자.
*연봉 중 초기 지출 25% 신용카드 사용 (신용점수, 신용카드 혜택)
*연봉 중 초기 지출 25% 체크카드 사용 (혜택 X)
2. 의료비 사용
-의료비는 맞벌이의 경우 총급여가 낮은 사람에게 몰빵한다.
왜냐하면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총 급여액의 3%를 초과해야 되기 때문이다.
*연봉 높은 5,000만원 A남편 몰빵시
*연봉 낮은 4,000만원 B와이프 몰빵시
3. 주택청약종합저축
-무주택자의 경우 주택청약통장을 만들어 소득공제를 받는다.
-연간 납입액의 40%, 공제 한도 연간 300만원(월25만원), 최대 소득 공제액 120만원.
-주택청약통장의 경우 저축개념으로도 활용가능하니 무주택자의 경우 저축+소득공제 혜택을 꼭 받자.
-만약 자취를 하는데 기존 가족과 세대원 분리가 안되어 있으면 전입신고를 해서 세대원에서 나와 세대주로 분리를 하자. 부모님집이 전세가 아니고 자가의 경우에 본인이 세대원으로 들어가 있으면 유주택자로 포함되어 소득공제를 받을 수가 없게 된다.
4. 연금저축
-상기 3가지 실행 후 세액공제가 부족하다면 연금저축을 가입하자!
가입후 연 납입액 600만원까지는 13~16.5%를 세액공제로 환급이 보장된다.
(연봉 5,500만원이하 세액공제 16.5%, 연봉 5,500만원 초과 세액공제 13.2%)
-만약 연봉이 5,000만원 직장인이 한도 600만원까지 연금을 납부했으면 600*16.5%=99만원까지 환급이 가능하고,
연봉 6,000만원 직장인이 한도 600만원까지 연금을 납부했으면 600*13.2%=79만원까지 환급이 가능하다.
납부한 연금저축은 펀드, ETF로 투자가 가능한데
납부한 금액과 투자수익은 55세부터 연금으로 수령이 가능하며 특히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 15.4%를 내지않고 5.5%로 낮은 세율로 적용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 (연 수령액 1,200만원 이하)
펀드 보다는 ETF가 안전하며 그중에서도 안전한 자산 미국 배장 ETF를 한다.
-즉 연금저축은 수익이 없어도 세액공제 +13~16.5%는 먹고가는 셈임.
*결론
연말 정산시 돈을 토해내지 않고 환급받으려면
1.본인 연봉의 ¼ 금액 지출때까지는 신용카드 사용, 이후 소득공제가 높은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집중(신용카드 사용X)
2.부부의 경우 의료비는 연봉이 낮은 사람에게 몰빵
3.무주택자라면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챙기자
4.그래도 돈을 토해낸다면 연금저축 가입하자 (세액공제로 수익률 +13~16.5% 보장)
감사합니다
'잡식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시크 VS 챗GPT 질문 배틀 (3) | 2025.01.28 |
---|---|
설날 차례상(제사상) 위치 (3) | 2025.01.27 |
일장기 덧칠, 태극기 제작 사연 (7)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