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관념

중국 딥시크 쇼크 (엔비디아 급락)

메시에 (M_3) 2025. 1. 27. 20:59
반응형


 
얼마전 트럼프대통령이 5천억달러를 AI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오라클, 소뱅 등 3개업체를 불러 중대 발표를 했다.

그러고 5일뒤 중국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딥시크는 미국 ChatGPT를 제치고 미국 앱스토어 1위에 올랐다.

현재 27일 중국 딥시크 영향인지 엔비디아, 테슬라 등 급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딥시크는 어떤 기업인지 중국 업체 딥시크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 DeepSeek는 인공지능 연구기업의 이름이고 AI언어 모델명이다.
(즉 ChatGPT와 유사한 모델)
DeepSeek는 중국의 유명 대학교 베이징대 등 로컬 출신의 박사들로 이루어져 있어 그런지 영리 기업이기보다는 연구기업의 이미지가 강하다.
그래서 그런지 실제로 DeepSeek에서 개발된 각종 모델들과 관련 내용들을 오픈소스로 무료로 배포 되고 있다.

기존 인공지능 언어는 ChatGPT, OpenAI, Anthropic 등이 유명한데
후발주자로 들어온 중국 DeepSeek가 기존 인공지능 AI와 비견해도 뒤떨어지지 않다는 평이다.
특히 엔비디아의 고속능 GPU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ChatGPT와 견주할만큼 능력을 가질수 있는것에 대해 미국 등 세계는 놀라고 있다.

그래서 최근 엔비디아 주식은 조정을 받고 있는데 최신 개발된 H100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인공지능 언어는 어쨌거나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많이 습득 해야하는데 빠른 속도를 내기위해서는 엔비디아 GPU 만한게 없었다. 허나 딥시크는 좋은 성능, 빠른 반도체 없어도 만족할 수준의 AI언어를 만들어낸 점에서 엔비디아 반도체가 다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고속능칩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얘기는 반대로 값싼 반도체를 사용했다는 얘기인데 상기 트럼프 발표와 같이 수천억원의 비용을 들여  많은 데이터 자원을 축적해야만 고성능 AI를 개발할 수 있다고 믿어온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계기가 되었다.

중국 AI의 추격에 블롬버그는 호평을 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도 오픈소스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만큼 미국에서도 관심 및 긴장을 하고 있다는 애기인데
과거 러시아와 미국이 우주개발 관련하여 산업적 패권전쟁이 있었듯이
중국 대 미국이 AI로 제2의 패권전쟁이 되지 않을까 예상된다. 마침.
                                  

728x90
반응형
LIST

'경제관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전쟁가담 북한청년 살린다.  (3) 2025.01.26
금리의 함정  (5) 2024.12.30